Part 4 주제별 이야기 391

존재교육에서 체크리스트

하나님은 우리가 성공하고, 성취감을 느끼며, 만족한 삶을 살기 원하신다. 그러나 성공, 중요성, 성취, 만족, 행복, 즐거움, 안정, 평화에 관한 당신의 믿음은 성경 말씀에 근거해야 한다. 1. 성공. 핵심개념 : 목표 - 성공은 목표와 직결된다. 열심히 노력하는데도 목표를 이루지 못한다면, 잘못된 목표를 위해 애쓰고 있기 때문이다. - 하나님의 목표는 당신의 신분을 확인하는 데서 시작된다는 사실에 유의하라. - 훈련을 통하여 생활 속에 이런 성품을 길들일 때 이게 성공이다. - 그리스도 안에서의 신분과 당신의 성품을 잘 계발해 나가는 것에서 당신의 가치가 나타난다. 2. 중요성. 핵심개념 : 시간 - 중요성은 시간의 문제다. 시간이 지나면서 잊히는 것은 중요하지 않은 것이다. - 당신이 중요한 존재가 ..

'존재교육'이 공부가운데 주는 영향

- 소유적 실존양식에 길든 학생들은 오로지 한 가지 목표를 겨눈다. 학습한 것을 기억 속에 새기거나 기록을 용의주도하게 보관함으로써 굳게 지키는 것이다. 그래서 소유형은 자신의 주제에 관한 새로운 사상이나 관념에 맞닥뜨리면 불안해한다. - 존재 양식으로 학생들은 우선 그들은 첫 강의에서부터 백지상태로 참여하지 않는다. 미리 고찰하고 특정한 문제와 의문에 대해서 골몰한다. 수용하고 대응한다. 그들이 들은 것은 그들 고유의 사유과정을 자극한다. 강의를 들은 후에는 그 이전과는 다른 사람이 된다. 존재교육을 받는 학생들은 반드시 예습을 해야 한다. 선생님들도 그것을 기억하며 예습을 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미리 공부를 해 와서... 궁금한 것들을 정리하고... 자신의 생각과 틀린 것, 다른 것들을 사고하게 하게..

덕과 성품의 관계

성품 - "한 사람의 생각, 감정, 행동의 표현" - 이영숙 - 사전적 의미 : 사람의 성질과 됨됨이. - 성품은 한결같은 모습이다. - 성품은 자아의 내면적, 총체적 구조다. 성품은 장기적 행동 패턴을 통해 표출되며, 행동은 웬만큼 성품의 자동적 결과다. - 성품이란 생각없이 느끼는 감정과 생각없이 행하는 일을 통해 가장 잘 표출된다. 덕(미덕) - 덕의 사전적 정의는 ‘공정하고 남을 넓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마음이나 행동’이다. - 구체적인 아름다운 행동 - 덕이 반복이 되면 성품이 된다. - 인간의 아름다운 삶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지침이다. - 자연적인 미덕이란 없다. 따라서 미덕은 인간적 차원에서 교육되어야 할 아름다운 어떤 것이다. - 미덕은 우리의 존재 방식이자, 올바르게 행동할 수 있는 역량..

성령과 성품

"당신이 성령 안에 살고 있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성령의 인도를 받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당신이 그렇게 행하겠다고 의도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얼마든지 그렇게 할 수 있다" "성령의 열매가 보이는 아홉 가지 양상을 비롯한 기독교적 미덕은 하나님의 선물인 동시에 본인이 이런 생활방식을 따르고 이같은 마음과 생각의 습관을 개발하겠다는 의식적인 결단에 따른 결과라는 것이다. 전문용어로 말하자면, 이런 것들 주인된 것인 동시에 습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그리스도인의 미덕, 톰 라이트, p.327 성령 안에 살고 있는 사람은 성령의 인도를 받는 선택을 하려고 한다. 성령 안에 있기에 성령께서 그 마음과 생각을 주시기 때문이다.

갑작스럽게 '한 사람'을 떠나보내며......

이 시대와 사회 가운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한 사람을 떠나보냈다.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방식으로.... 그래서 더 마음이 아프다.그 사람이 정치적으로 어느 곳에 있든지 그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쨌든 이 사회 가운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었던 사람이기에..... 외부적으로 드러난 그 사람의 삶이 있다. 이 사회를 위해서 치열하게 고민하며 애쓰며 살아온 삶... 아마도 그것은 모든 사람들이 인정하는 부분이었으리라... 올바른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 애쓰고, 수고하며 노력하며 살아온 삶... 그런데 그러한 삶이 한 순간에 다 무너져 버렸다. 그가 추구해던 모든 가치가 '거짓'이라고까지 폄하되었다. 지금의 상황으로 보면 그 말이 맞을 수도 있는 상황이 되었다. 일련의 상황을 보면서 몇 가지 생각이 들었다. ..

'덕과 성품' 중에서

바른 성품의 소유자는 적어도 자신의 부르심에 합당한 존재가 된다는 의미 아닐까 싶어. 즉 너는 성품이 좋은 삶에 얼마나 중요한지 발견해 나가고 있는 셈이지. p.202 insight : 존재에 맞는 모습이 성품이다. 성품을 훈련하는 것은 그 존재에 맞는 모습이 드러나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그런 존재이기에 그런 성품을 훈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존재가 아니라 그런 성품을 훈련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좋은 삶의 의미를 제대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성품과 덕이 필수라는 점을 말이야. 성품과 덕은 우리가 내리는 결정과 선택에서 드러나지만, 우리가 어떤 종류의 선택과 결정을 내릴지는 성품이 결정해. 성품이 바른 이들에게는 자신의 결정이 결정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말을 한 거란다. 그들은 자신이 내린 결정 이외의 다..

3가지 덕목 묵상 "사랑"

아가페(26) ἀγάπη, ης, ἡ 품사 명사, 여성형 어원 $G25$에서 유래 단어 정의 ‘사랑’ 즉 ‘애정’이나 ‘자비심’, 특히 (복수) ‘사랑의 잔치’, 애찬, 친애하는 [요 5:42; 빌 1:9]. - 사랑을 뜻하는 히브리어는 첫째, 헤세드. 자비로 번역된다. 헤세드는 계약을 충실히 지키는 사랑을 뜻한다. 끝까지 가는 충실한 사ㅏㄹㅇ 둘째, 라함. 연민으로 번역된다. 느낌이 있는 사랑을 일컫는다. 셋째, 하난. 너그럽다, 용서를 베풀다. "하느님 사랑은 계약이 충실한 거구나! 하나님 사랑은 느낌이 있느 사랑이구나! 하나님 사랑은 자비와 관용이 넘치는구나1" - 헬라어로는 아가페, 필리아, 에로스로 번역한다. [ 향주삼덕과 복음삼덕 ] - 사랑이 완성되면 정결이 된다. 사랑 중에 제일 질 좋은 ..

좋은 생각을 하려면 좋은 습관을 들여야 한다

"좋은 생각을 하려면 좋은 습관을 들여야 하는 법" 기분이 나쁠 수 있겠지만 '개를 훈련시키는 것'이나 '사람을 훈련시키는 것'이나 그리 다르지 않다. 결국 '몸'에 관한 것이기에.... 좋은 생각을 하려면 좋은 습관을 들여야 한다. 좋은 습관이 들 때 좋은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좋은 생각은 '말씀'으로부터만 온다. 말씀을 듣지 않으면 좋은 습관이 생기지 않는다. 복음으로 사는 삶 역시도 '습관'이기에 '말씀'을 듣고 '몸'으로 하는 훈련이 필요하다.